안녕하세요. 트렌드 크리에이션 기업 에스팀입니다. ESteem LETTER I 2023.09 I Vol.3 |
|
|
안녕하세요. 트렌드 크리에이션 기업 에스팀입니다. 브랜드와 아티스트는 에스팀과 떼려야 뗄 수 없는 파트너인데요. 세 번째 뉴스레터에는 에스팀의 스피커(SPEEKER)와 아티스트, 그리고 브랜드가 만나 제주에서 펼치고 있는 아트 페스티벌 '아트 트랙 제주 2023'의 소식을 담았습니다. 아트 트랙 제주 2023의 다채로운 트렌드 콘텐츠를 모은 세 번째 뉴스레터 시작합니다.
|
|
|
한눈에 보는 에스팀 레터
에스팀 핫 이슈
✔️ 제주 핫플레이스를 여행하며 문화예술을 즐기다 '아트 트랙 제주 2023'
에스팀 크리에이티브 사례
✔️ 지금 주목해야 할 브랜드와 아티스트의 만남
✔️ 공간과 문화예술의 조화까지 작품으로
✔️ 작품으로 재탄생한 제주 로컬의 매력
에스팀 핫 아이콘
✔️ 필름디렉터 김해찬, 아티스트 윤경덕, DJ Doyeon, 모델 엄서윤 |
|
|
제주에서는 10월 1일까지 여행객들의 색다른 이정표가 될 '아트 트랙 제주 2023'이 펼쳐집니다. 복합문화공간부터 편집샵∙카페∙브랜드 스토어 등 제주 전역 19곳의 핫플레이스에서 39인의 국내외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선보이는 아트 페스티벌!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 가까이에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게 하고자 에스팀의 스피커(SPEEKER)가 새롭게 기획한 참여형 문화예술 프로젝트인 '아트 트랙 제주 2023'을 소개합니다.
아트 트랙 제주 2023 보러가기 [ 공식 인스타그램ㅣ유료 전시 예매 ] |
|
|
✔️ 지금 주목해야 할 브랜드와 아티스트의 만남 |
|
|
📌렉서스코리아x그래픽 아티스트 김세동(Sambypen)
렉서스코리아는 '아트 트랙 제주 2023'에 리드 파트너로 참여하며 스피커 소속 아티스트 김세동과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했습니다. 김세동은 렉서스가 최근 론칭한 순수 전기차 모델 'RZ450e'를 모티브로 드라이브 스루 콘셉트의 아트워크를 제작했는데요. 제주 서쪽 애월에 위치한 복합 문화 공간 '하우투플레이'와 제주 곳곳에 마련된 렉서스 홍보존에서 이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그랜드 조선 제주x사진작가 안웅철과 플라워 브랜드 그로브
그랜드 조선 제주는 하나의 갤러리로 연출됩니다. 헤븐리 라운지에서는 세계적 음반사 ECM Records의 표지를 작업한 유일의 한국인 사진작가 안웅철이 제주 바다의 찰나를 담은 사진 작품을 전시합니다. 개성있는 플라워 디자인으로 사랑받는 플라워 브랜드 그로브는 몬스터 호텔을 콘셉트로 본관에 다양한 크기와 색감의 조형물을 전시합니다. 호텔 곳곳에서 예술 작품과 마주치는 경험은 물론, 그로브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그랜드 조선 제주의 스페셜 디저트도 맛볼 수 있습니다. [안웅철 전시 현장ㅣ그로브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이니스프리x디자이너 임태희와 텍스타일 아티스트 정희기
서귀포의 명소, 드넓은 녹차밭을 품은 '이니스프리 제주하우스'는 건축가이자 공간 디자이너인 임태희 소장과 텍스타일 아티스트 정희기의 작품으로 재탄생합니다. 버려진 의자를 작품으로 만드는 임태희 소장의 의자 시리즈, 천과 실, 바늘을 이용한 정희기 작가의 패브릭 아트 워크를 감상하며 도시에서 만나볼 수 없는 여유를 즐겨보세요. [임태희 전시 현장ㅣ정희기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햇볕 쏟아지는 하우투플레이 온실과 휴일의 풍경을 기록한 요시고의 사진
평범한 풍경과 장소를 독창적인 언어로 재해석하는 스페인 사진작가 요시고의 작품을 복합문화공간 '하우투플레이'의 온실에 전시했습니다. 따뜻한 휴일의 풍경을 기록한 요시고의 사진은 제주의 따사로운 햇볕을 받아 더욱 매력적으로 빛을 내고, 식물에 둘러싸인 예술작품 사이를 거닐면 마치 사진 속 휴양지를 여행하는 듯한 느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추억을 재해석한 복합문화공간 라바르와 헤르시, 조이유의 작품
옛 대중목욕탕 공간을 현대적인 시선으로 재탄생시킨 복합문화공간 '라바르'에는 스피커 소속 아티스트 헤르시와 런던에서 활동 중인 일러스트레이터 조이유의 작품을 더했습니다. 추억의 공간 속에서 헤르시는 바다에서의 경험과 즐거움을 드로잉과 세라믹에 담아내고, 조이유는 구글 맵으로 제주를 보며 상상한 누군가의 여행을 작품으로 선보이며, 관람객들이 저마다의 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헤르시 전시 현장ㅣ조이유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지속가능성을 꿈꾸는 편집 매장 점과 강영민의 업사이클링 오브제
'점'은 호젓한 귤 밭을 품은 창고를 재탄생시킨 편집 매장입니다. 소재는 물론, 만들어지고 소모되는 과정까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제품을 판매하는데요. 이 공간에는 폐기된 플라스틱에서 영감을 받아 강렬한 색감과 형태의 오브제를 만드는 아티스트 강영민의 체어를 매칭했습니다. 모노톤의 공간에 놓인 컬러풀한 작품들은 사색과 쉼의 시간을 선사합니다.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제주를 작품 소재로 삼은 사샤 폴레와 스테파니 미초바
제주 동쪽의 카페 '레이오버'에서 전시 중인 스피커 소속 아티스트 사샤 폴레와 스테파니 미초바는 제주를 작품의 소재로 삼았습니다. 사샤 폴레는 제주도에 버려진 스티로폼 부표를 업사이클링하고, 그 위에 제주 해변의 바위 표면 질감을 형상화한 유리 공예품을 설치한 작품 '폴리사이렌의 노래'를 선보입니다. 모델 겸 포토그래퍼인 스테파니 미초바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관찰한 사진으로 제주 식물의 아름다움을 전합니다. [샤샤폴레 전시 현장ㅣ스테파니 미초바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상상 속 제주 풍경으로 기억과 감정을 떠올리게 하는 김강희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진작가 김강희는 상상 속 제주의 풍경을 작품에 담았습니다. 카메라를 통해 포착한 장면에 포토샵을 더해 완성한 초현실적 제주. 어떠한 메시지를 전하기 보다 관람객 개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감정이든 자유롭게 느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김강희 작가의 작품은 종달리 해안도로에 위치한 카페 겸 갤러리 '꼬스뗀뇨'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시 현장 보러가기]
|
|
|
📌제주의 특징을 굿즈로 제작한 프린트 디자이너 김다희
프린트 디자이너 김다희는 제주하면 떠오르는 것들에 영감을 받아 아트워크를 만들었습니다. 한라산, 돌하르방, 야자수, 오름, 해녀, 조랑말까지 다양한 제주의 특징이 ART TRACK JEJU의 알파벳 안으로 녹아들었는데요. 김다희의 아트워크는 '아트 트랙 제주 2023'의 추억을 되새길 수 있는 키링과 엽서, 스티커, 파우치로 소장할 수 있습니다. [굿즈 보러가기]
|
|
|
📌 필름디렉터 김해찬
김해찬은 감성적인 연출로 브랜드가 지닌 스토리를 풀어내는 필름디렉터입니다. 엘르, 에스콰이어 등 다양한 매거진과 작업하며, 삼성, 애드오프, 조이그라이슨 등 브랜드와 협업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작업 보러가기] |
📌 아티스트 윤경덕
윤경덕은 소재를 해체하고 재조합하는 해체주의 기반 아티스트입니다. 나이키, MCM 등 다양한 브랜드의 러브콜을 받고 있으며, 아트 트랙 제주 2023에 참여해 SM엔터 샤이니의 무대 의상을 재조합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작업 보러가기] |
|
|
📌 DJ Doyeon
DJ Doyeon(본명 김도연)은 슈퍼모델 선발대회 출신의 모델 겸 DJ입니다. 하우스와 테크노 음악을 주로 활용해 세트리스트를 구성하며, 무신사, 바쉐론 콘스탄틴 등 브랜드와 협업해 브랜드 이벤트에서 무대를 선보였습니다. [작업 보러가기] |
📌 모델 엄서윤
엄서윤은 유니크한 마스크와 분위기, 독보적인 소화력으로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모델입니다. 보그 US, 엘르, W 등 다수의 매거진과 작업했으며, 커버낫, 민주킴, 무신사 등의 광고 모델로 활약했습니다. [프로필 보러가기] |
|
|
ESteem
esteem_info@esteemgroup.com
기자문의 : esteem@prain.com
|
|
|
|
|